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부동산 - 10년 주기설 2023년 이후의 부동산 시장은?

by 머힛 2023. 5. 7.

KB부동산 자료


부동산 10년 주기설

 부동산 10년 주기설이라는 이야기에 대해서 들어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부동산에 관심이 있으시다면, 한번쯤은 들어보신 적 있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그동안의 부동산 시장이 10년을 주기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해 오고 있다는 의견에서부터 시작된 내용인데, 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고 앞으로의 부동산 시장의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실 10년 주기라는 이야기가 부동산 한정적인 부분이 아닙니다. 경제적으로도 10년 주기로 경제위기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경제 위기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도 좋아졌다가 안좋아졌다가 한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하기 전까지 부동산 가격은 24프로까지 아주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작년까지의 흐름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2014년부터 8년간 꾸준히 부동산가격이 상승해 왔습니다. 

 또한 부동산 각종 규제를 통해서 시장을 압박을 해왔던 모습도 과거 2007년도의 모습과 2022년도의 모습이 유사하게 나타납니다. 

 

서울 아파트의 가격의 변동

 그러면 당시 글로벌 금융위기 때 서울에 아파트 가격의 변동은 어땠을까요?

 은마 아파트의 경우 금융위기 이전 신고가가 11억3천만원이었고, 2012년도 실거래가는 7억8천만원 이었습니다. 약 30% 하락한 수치였습니다. 지금은 재건축을 진행한 개포 주공 3단지 아파트의 경우는 7억 4천500만원에서 5억 4천500만원으로 27% 하락하였습니다.

 

 은마아파트의 경우 재건축에 대한 기대 심리가 반영되어 있는 상태이나, 생각보다 큰 금액이 하락된게 확인됩니다.

2022년 최고점에 매매된 금액은 26억 3천500만원에 거래되었습니다. 그리고 2023년 1월에 18억 6천만원 선에 거래가 되었습니다. 이 역시 약 29% 하락한 수치 입니다.

 

 아직 금리 인상이 끝난 것도, 거래절벽이 끝난 것도 아닙니다.

 심지어, 최근에는 전세사기, 깡통전세로 인해서 전세 거래 조차 불안에 떨고 있는 상태가 되어 있습니다. 그로 인해서 전세를 활용한 갭투자를 하기에도 어려운 상황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이면 글로벌 금융위기 보다 더 큰 하락 폭이 이어질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합니다.

 

부동산 시장의 미래

 그러면 과거를 통해서 미래를 예측을 해보면 언제쯤 다시 괜찮아 질까요?

 과거의 그래프를 살펴보면, 금융위기 후 회복이 되는데까지 약 5년의 시간이 걸린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의 상황도 유사하거나, 더 빠를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더 빠를 수도 있을 거라 생각되는 것은 과거와 달리 정보나 유통, 교통 등 비지니스, 산업의 회전, 발전 속도과 과거와는 수준이 다릅니다. 그로 인해 발전하고 회복하는 속도도 다를 것이기 때문에 적어도 과거와 같거나, 그보다 빨리 회복하지 않을가 추측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