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년 전세금 지원 정책
정부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다양한 전세금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청년 전세금 지원 정책은 크게 ① 보증금 대출과 ② 보증금 지원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증금 대출
보증금 대출은 청년이 전세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주택금융공사, 은행, 보험사 등이 대출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대표적인 보증금 대출 상품으로는 「버팀목전세자금대출」, 「청년전용보증부 월세대출」, 「월세보증금대출」 등이 있습니다.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은 연 소득 70%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에게 전세자금을 대출하는 상품입니다. 대출 한도는 최대 8천만 원이며, 금리는 연 1.8%~2.9%입니다.
「청년전용보증부 월세대출」은 연 소득 3,500만 원 이하의 청년에게 월세 보증금을 대출하는 상품입니다. 대출 한도는 최대 1억 원이며, 금리는 연 1.5%~2.0%입니다.
「월세보증금대출」은 연 소득 70%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에게 월세 보증금을 대출하는 상품입니다. 대출 한도는 최대 3천만 원이며, 금리는 연 1.7%~2.2%입니다.
보증금 지원
보증금 지원은 청년이 전세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직접 보증금을 지원하는 정책입니다. 대표적인 보증금 지원 정책으로는 「청년전세임대주택」, 「청년장기전세보증금대출」, 「청년희망모아」 등이 있습니다.
「청년전세임대주택」은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청년에게 시세 60~80% 수준의 주택을 전세로 제공하는 정책입니다. 임대료는 시세의 50% 수준입니다.
「청년장기전세보증금대출」은 연 소득 70% 이하의 청년에게 최대 1억 원까지 전세보증금을 대출하는 정책입니다. 대출 기간은 최대 30년이며, 금리는 연 1.2%~2.0%입니다.
「청년희망모아」는 연 소득 80% 이하의 청년에게 최대 1억 원까지 전세보증금을 대출하는 정책입니다. 대출 기간은 최대 20년이며, 금리는 연 1.2%~2.0%입니다.
청년 전세금 지원 정책의 필요성
청년 전세금 지원 정책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들이 전세금을 마련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정부는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청년 전세금 지원 정책을 확대하고, 실효성을 높여야 할 것입니다.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파트 매매 절차와 주의 사항 - 매수자 입장 (0) | 2023.05.19 |
---|---|
부동산 기본 용어 - 부동산 거래 시 이것 만은 알고 하자. (0) | 2023.05.15 |
2023년 부동산 전세 시장 전망 (0) | 2023.05.13 |
좋은 부동산 찾는 방법 (0) | 2023.05.11 |
용인 33평 아파트 분양가가 12억??? (0) | 2023.05.09 |
댓글